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변경 육아휴직 제도 핵심 정리

by 다정다감 출출이 2025. 2. 20.
반응형

 

1. 육아휴직 기간 연장

  • 기존: 부모 각각 최대 1년 사용 가능
  • 변경: 부모 각각 1년 6개월로 연장
  • 추가 조건: 부모가 각각 3개월 이상 사용하거나, 한부모·중증장애아동 부모인 경우 적용됨

예시:
아빠가 3개월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엄마도 추가 6개월 사용 가능


2. 육아휴직 급여 인상

  • 기존: 월 최대 150만 원 (통상임금의 80%)
  • 변경 (2025년 1월 1일부터 적용)
    • 1~3개월: 월 250만 원 (통상임금 100%)
    • 4~6개월: 월 200만 원 (통상임금 100%)
    • 7개월 이후: 월 160만 원 (통상임금 80%)
  • 추가 변경: 사후 지급금(25%) 폐지 → 휴직 기간 중 전액 지급

예시:
엄마가 6개월 동안 육아휴직을 하면 첫 3개월은 월 250만 원, 이후 3개월은 월 200만 원을 받음.


3. 부모 동시 육아휴직 급여 인상

  • 기존: 부모 각각 월 150만 원
  • 변경: 부모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첫 6개월 동안 급여 인상
    • 1~2개월: 각 250만 원
    • 3개월: 각 300만 원
    • 4개월: 각 350만 원
    • 5개월: 각 400만 원
    • 6개월: 각 450만 원

예시:
부모가 동시에 육아휴직을 쓰면 첫 달에 두 사람 합쳐 최대 500만 원을 받을 수 있음.


4.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

  • 기존:
    • 최대 2년 사용 가능 (1년 + 육아휴직 미사용 기간)
    • 자녀 만 8세(초2) 이하까지 신청 가능
    • 최소 3개월 단위 사용
  • 변경 (2025년 2월 23일부터 적용)
    • 최대 3년 사용 가능 (1년 + 육아휴직 미사용 기간 × 2)
    • 자녀 만 12세(초6) 이하까지 신청 가능
    • 최소 1개월 단위 사용 가능

예시:
초등학교 5학년 자녀를 둔 부모도 근로시간 단축을 신청 가능


5.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 기존: 10일 (출산 후 90일 이내 1회 분할 가능)
  • 변경 (2025년 2월 23일부터 적용)
    • 20일로 확대
    • 출산 후 120일 이내 사용 가능
    • 최대 4회 분할 가능
    • 중소기업 근로자는 유급 지원 기간 5일 → 20일로 확대

예시:
아빠가 출산 후 1주일 휴가를 쓰고, 이후 필요할 때마다 남은 기간을 나눠서 사용할 수 있음


6. 난임치료휴가 확대

  • 기존: 연간 3일 (유급 1일 + 무급 2일)
  • 변경: 연간 6일 (유급 2일 + 무급 4일)
  • 추가 변경: 중소기업 근로자는 유급 2일 급여 지원 신설

예시:
난임치료를 받는 직원이 연간 6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중소기업 직원이라면 유급 2일 지원받을 수 있음.


7. 미숙아 출산 시 출산휴가 연장

  • 기존: 90일 (유급 60일, 무급 30일)
  • 변경: 100일 (유급 60일, 무급 40일)
  • 추가 변경: 중소기업 근로자는 100일, 대기업 근로자는 40일 급여 지원

예시:
출산한 아이가 미숙아라면, 엄마는 기존보다 10일 더 휴가를 받을 수 있음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육아휴직 급여 인상은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A1. 2025년 1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

Q2. 육아휴직을 나눠서 사용할 수 있나요?

A2. 네, 2025년 2월 23일부터 최대 4번까지 분할 사용 가능합니다.

Q3. 배우자 출산휴가는 어떻게 변경되나요?

A3. 2025년 2월 23일부터 20일로 늘어나고, 출산 후 120일 이내 최대 4번까지 나눠서 사용 가능합니다.

Q4.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신청 대상이 어떻게 확대되나요?

A4. 자녀가 만 12세 이하(초6 이하) 까지 신청할 수 있도록 변경됩니다.

Q5. 부모가 동시에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급여가 어떻게 달라지나요?

A5. 첫 6개월 동안 급여가 인상되며, 부모 각각 월 최대 45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핵심요약

2025년부터 육아휴직이 더 길어지고, 더 많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으며,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도 확대됩니다.
부모 모두 함께 육아휴직을 쓰면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겠네요.😊

📌 참고 자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