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이 제47대 대통령으로 취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사는 보호무역주의, 강경 이민 정책, 에너지 산업 활성화, 법치주의 강화, 위대한 미국 재건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습니다. 아래 내용에서 보듯 '위대한 미국'을 강조하고 있는데요.
During every single day of the Trump administration, I will, very simply, put America first.
오늘부터 우리 나라는 다시 번영하고 전 세계에서 존경을 받게 될 것입니다.
(중략)
America will soon be greater, stronger, and far more exceptional than ever before.
미국은 머지않아 그 어느 때보다 더 위대하고, 강하고, 훨씬 더 특별해질 것입니다.
연설문 전문은 아래 기사 링크를 참고하세요.
트럼프 “미국의 황금 시대, 지금 시작된다” [취임사 한국어·영어 전문]
트럼프 미국의 황금 시대, 지금 시작된다 취임사 한국어·영어 전문
www.chosun.com
* 참고: (조선일보) 트럼프 “미국의 황금 시대, 지금 시작된다” [취임사 한국어·영어 전문]
트럼프 연설문을 통해 알 수 있는 3가지 시사점
1. 세계화에서 보호무역주의로의 전환
"미국 우선주의"를 강조하며 보호무역과 자국 경제 보호 정책을 중심으로 추진
관세 부과, 국경 단속 강화, 무역협정 재검토 등으로 세계화 기조 약화
2. 강력한 국경 통제 및 이민 정책 강화
국경에 군대를 배치하고 불법 이민과 범죄 조직 근절에 주력
"남부 국경 비상사태" 선언 및 이민 관련 법 집행 강화
3. 친환경 정책 철회와 전통적인 에너지 산업 지원
제조업 복귀(리쇼어링)와 에너지 생산 확대(화석연료, 석유, 천연가스 개발)로 미국 경제 자립 추구
전기차 의무화 및 친환경 정책 철회 (파리 기후협약 탈퇴) & 화석연료 중심 에너지 정책으로 자국 산업 보호
트럼프 대통령 취임 첫날에 한 8가지 주요 조치
취임 첫날부터 트럼프 대통령이 시행한 8가지 주요 조치를 봐도 향후 방향성이 뚜렷하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 1월 6일 의사당 폭동 참가자 대규모 사면
- 폭동 관련으로 기소된 약 1,600명에 대한 광범위한 사면과 함께, 극우단체 14명 의 형량을 감형했습니다.
- 세계보건기구(WHO) 탈퇴
- 코로나19 팬데믹 대응에 대한 불만으로 WHO에서 탈퇴를 결정했습니다.
- 이민 단속 강화
- 국경 봉쇄, 비시민권자의 출생시 시민권 박탈 등 강경한 이민 정책을 실행하며 헌법적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 틱톡 금지법 연기
- 틱톡 금지법의 집행을 75일 연기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하며, 앱 거래 시 미국이 일정 지분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파리 기후협약 탈퇴
- 미국을 기후협약에서 제외시켜 전 세계 탄소배출 감소 협력에서 이탈했습니다.
- 연방정부 채용 관련
- 연방정부 전체에 채용 동결을 명령하며, 특히 IRS에 대한 동결 조치를 연장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 인종 및 성 소수자 보호 정책 철폐
- 다양성, 형평성, 포괄성을 촉진하는 연방 프로그램을 폐지하고, 트랜스젠더 보호 정책을 약화했습니다.
- 캐나다와 멕시코에 관세 부과 계획 발표
- 2월 1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할 계획
- 두 국가가 마약(특히 펜타닐)과 이민자 유입을 방치하고 있다고 주장
- 미국 내 모든 수입품에 대해 "보편적 관세" 부과 가능성도 언급
* 참고: What Trump Did on Day 1: Tracking His Biggest Moves - The New York Times
서학개미라면 알아두면 좋은 유망/주의해야 할 투자 분야
1. 유망한 투자 분야
- 에너지 및 원자재: 화석연료 생산 확대와 에너지 관련 산업 성장 예상
- 국방 및 방위산업: 국방 예산 확대와 군사력 강화로 방위산업 투자 기회
2. 주의해야 할 투자 분야
- 글로벌 수출 의존 업종: 보호무역주의로 자동차, 철강 등 수출 기업 타격 가능
- 친환경 및 재생에너지: 화석연료 지지 정책으로 전기차 및 재생에너지 산업 위축
투자 제언
- 다변화된 포트폴리오: 다양한 산업과 지역에 걸친 분산 투자
- 미국 내 수요 중심 투자: 미국 내 소비 및 제조 관련 주식이나 ETF에 집중
- 방어적 투자 전략: 배당주, 채권, 금 등 안전자산 비중 확대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사는 강력한 정책 방향을 선언한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개인 투자자는 대내외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리스크와 기회를 신중히 판단해야 합니다.
특히 글로벌 경제와 연결된 한국 경제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철저한 준비와 대응 전략이 필요합니다.
지속적인 관심과 분석을 통해 2025년의 성공적인 투자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