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린이 용어] 커버드콜 전략 핵심 정리(예시 포함)

by 다정다감 출출이 2025. 2. 2.
반응형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한 투자란 무엇일까

📌 기본 상황

  • 나는 테슬라(TSLA) 주식을 1,000달러에 한 주 매수했다.
  • 테슬라 주식을 그냥 보유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추가 수익을 얻기 위해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하기로 했다.
  • 그래서 나는 **"한 달 후 1,100달러에 이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콜옵션)"**을 다른 투자자에게 50달러에 판매했다.
    • 이 옵션을 산 사람은 한 달 후 테슬라 주식 가격이 1,100달러 이상이 되면 싸게 살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 나는 **50달러의 옵션 매도 수익(프리미엄)**을 미리 확보했다.

📌 시나리오 1: 한 달 후, 테슬라 주가가 1,050달러가 되었다면?

  • 주식 가격이 1,050달러가 되었지만, 옵션을 산 사람은 1,100달러에 주식을 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옵션을 행사하지 않는다.
  • 나는 여전히 내 테슬라 주식을 보유한 상태이다.
  • 그리고 나는 옵션을 팔면서 받은 50달러의 추가 수익을 확보했다.

💰 나의 총 수익:
✔ 테슬라 주식 보유: 1,050달러 (변동 없음)
✔ 옵션 프리미엄 수익: +50달러
총 수익: 50달러 이익

즉, 주가가 오르긴 했지만 1,100달러를 넘지 않았기 때문에 나는 여전히 내 주식을 보유하고, 옵션 매도로 얻은 50달러를 추가 수익으로 챙길 수 있다.


📌 시나리오 2: 한 달 후, 테슬라 주가가 1,200달러가 되었다면?

  • 이번에는 테슬라 주식이 1,200달러까지 올랐다!
  • 하지만 나는 한 달 전에 1,100달러에 팔기로 한 옵션을 팔았기 때문에, 옵션을 산 사람이 권리를 행사할 것이다.
  • 따라서 나는 강제로 1,100달러에 내 테슬라 주식을 팔아야 한다.
  • 나는 원래 1,000달러에 주식을 샀으므로, 1,100달러에 팔면 100달러의 시세차익을 얻는다.
  • 그리고 여기에 옵션을 매도해서 받은 50달러의 추가 수익이 있다.

💰 나의 총 수익:
✔ 테슬라 주식 매도 이익: +100달러 (1,000 → 1,100달러)
✔ 옵션 프리미엄 수익: +50달러
총 수익: 150달러 이익

즉, 주가가 1,200달러까지 올랐지만, 나는 1,100달러에 팔기로 했기 때문에 추가 상승분을 가져갈 수 없다. 하지만 옵션 매도로 얻은 50달러 덕분에 총 150달러의 수익을 얻게 된다.


📌 커버드콜 전략의 핵심 정리

주가가 1,100달러 이하라면? → 주식을 계속 보유하면서 옵션 매도 수익(50달러)을 추가로 얻음
주가가 1,100달러를 넘으면? → 약속한 가격(1,100달러)에 주식을 팔아야 하지만, 그래도 옵션 매도 수익(50달러)을 추가로 얻음
주가가 너무 많이 오르면? → 추가 상승분(1,100달러 초과)은 내 것이 아니라 옵션을 산 사람의 수익이 됨

결과적으로, 커버드콜 전략은 안정적인 추가 수익(옵션 매도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주가가 급등할 경우 최대 수익이 제한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