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1일 오전 8시 40분경,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국립한글박물관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박물관은 한글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전시하는 중요한 문화시설로, 이번 화재 소식은 많은 이들의 우려를 자아냈습니다.
1. 화재 원인
소방당국에 따르면, 화재는 박물관 3층과 4층 사이에서 진행되던 철제 계단 절단 작업 중 불꽃이 튀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당시 박물관은 교육 공간 조성을 위한 증축 공사로 휴관 중이었으며, 이로 인해 관람객은 없었습니다.
2. 화재 진화 과정
화재 신고를 접수한 소방당국은 오전 9시 30분경 대응 1단계를 발령하고, 장비 76대와 인력 262명을 투입하여 진화 작업에 나섰습니다. 큰 불길은 낮 12시 31분경 잡혔으며, 잔불 정리 등을 거쳐 오후 3시 22분경 완전히 진화되었습니다.
3. 피해 상황
다행히도, 박물관이 휴관 중이어서 관람객 피해는 없었습니다. 공사 작업자 6명 중 4명은 자력으로 대피하고, 2명은 구조되었습니다. 그러나 진화 과정에서 소방대원 1명이 철근 낙하물에 맞아 부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되었습니다. 문화유산의 경우, '월인석보 권9, 10', '정조 한글어찰첩' 등 보물 9건을 포함한 국가 지정문화재급 26건(257점)은 인근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안전하게 이송되었으며, 나머지 소장품도 피해를 입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4. 나가며
현재 소방당국은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이며, 박물관 측은 남은 소장품의 안전한 보관을 위해 추가적인 조치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박물관의 복구 작업과 재개관 일정에 대한 계획도 마련될 예정입니다. 이번 화재를 계기로 문화유산의 소중함과 안전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되새기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이러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철저한 안전 관리와 예방 대책이 필요할 것입니다.